예전에 치과 국가고시 준비하면서 모르는 단어가 나올때마다 찾느라 빡친 기억이 아주 상콤합니다.
(일반분야 단어가 아니라서 그런지 검색해도 한번에 나오질 않더군요...)
치의학 공부하시는 분들은 Ctr + F 눌러서 모르는 단어 찾아보면서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화... 화이팅...
치대 용어 내 정리
wrought metal = 가공금속 ; 주조물을 기계적으로 가공하여 완전히 다른 형태로 변형시킨것
고온강도 = 고온에서의 강도
ectopic eruption = 이소맹출
아데노이드 절제술
소치에서 SS crown = 기성금속관으로 사용
인접한2급와동
첨와 = undercut
*H file vs K file vs Reamer
H file |
K file |
Reamer |
단면(태극모양)
@H ㅎ 뭔가동글 |
단면
@K 사Kㅏㄱ |
단면
|
원형을 기계로 깎아서 태극모양으로 만듬 |
옆으로 꼬아서 만듬 |
|
push X / pull O / rotate X pull 돌려서 사용 불가 |
push O / pull O / rotate O 돌려서 사용 가능 filing동작시 기구를 근관의 한쪽 벽에 대고 끌어올리면서 제거 |
rotate(=reaming) push & clockwise rotation
|
삭제력 우수(K, reamer보다 우수) |
삭제력 좋지 않음 삭제력 reamer보다 약하나 but mm당 날의수 reamer보다 많음 |
삭제력 좋지 않음 삭제력 K-file보다 좋으나 but mm당 날의수 K-file보다 적음 |
파절가능성높음 |
파절가능성낮음 |
|
- K-file 사용후 치근관벽 활택하는데 사용 - coronal preparation시 사용 |
- 주로 작업장 재는데 사용 - apical stop 형성시 사용 |
- 근관 형성시 상아질 삭제에 사용(상아질에 탁월) |
유연성 제일 떨어짐 (구부리기 어려움) |
유연성 떨어짐 |
유연성 우수 |
끝이 뾰족해서 ledge위험 |
|
|
continuous wave 수직가압법
oral screen
howship 흡수공간 = howship 소와 = howship's lacuna ; 일반적으로 파골세포는 자신이 만들어놓은 얕게 파인 함몰부에서 뼈 표면에 붙어 존재하는데 이 공간을 뜻 함
침식면(erosion) : 골같은곳을 ct같은걸로 보면 우둘투둘하게 불규칙한 표면으로 관찰
시체경직 = 시강 = postmortem rigidity
안륜근 = 눈둘레근
기능인상 해부학적 인상
apical patency ; 근관성형 하다보면 치근단 부위에 dentin debris(상아질잔사)가 쌓이게 된다. 이를 뚫기 위해 #10~15정도의 작은 file로 근관장보다 0.5~1mm 넘어가게 쑤시면 쌓여있는 dentin debris가 없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술식을 apical patency라고 함
strip perforation : 치관부 근관 형성할때 치근분지부의 얇은 근관벽 쪽인 danger zone으로 계속 확대하면 치근분지부 쪽 근관 측벽을 천공하게 되는데 이를 strip perforation이라함
헤파린 : 응고 억제 작용
ameloblast = 법랑아세포 ; 법랑질 형성하는 세포
PDL space = PerioDontalLigament space = 치주인대강
maf = master apical file ; 근첨공에서 꽉 끼는 파일의 직경보다 3단계 큰 파일
master cone
apical transportation = zip
유도면=guiding plane ; 가철성의치의 삽입로와 철거로 역할을 하는 지대치의 면/
주로 유도면은 지대치의 인접면으로 설정함/ 가철성의치의 유도판(proximal plate)이 유도면에 접촉
가요성 = flexibility ; 물체가 쉽게 휘고 다시 원래대로 회복할수 있는 능력
진토효과 = antiemetic effect = 구토억제효과
선행성 건망증 ; 진료과정 중 기억을 잃음
부비동 = 상악동 + 전두동 + 접형동 + 사골동
hemostat : 혈관을 집기위한 작은 수술용 포셉
oozing ; 대충진물 나오는거라고 보면댐
akers clasp
RPA클래스프
rpi clasp
악하간극농양 = submandibular space abscess
설하간극농양 = sublingual space abscess
이하간극 = submental space
superficial temporal space
masseteric space
deep temporal space
측두하간극 = infratemporal space
pterygomandibular space
opacity ;불투과성
동맥관 개존증: 동맥관(태아기에 대동맥과 폐동맥을 연결하는 혈관)이 출생후에도 닫히지 않고 열려있는거
antrostomy ; 상악동절개술
과오종 = hamartoma : 정상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성장해 생긴 양성종양
협부간극=buccal space
가압증기멸균 = autoclave (응급실에서 보던거)
decortication : 반흔등을 껍질벗겨내듯이 제거하는 방법
silane
상관절강 하관절강
working condyle = rotating condyle = working side쪽 condyle
orbiting side = balancing side = non-functional side
sagittal plane=longitudinal plane / coronal plane=frontal plane / horizontal plane = transverse plane = axial plane
티아민 = vitB1
라보플라빈 = vitB2
피d리독신 = pyridoxine = vitBr3
각기증 = beribeeri
trigeminal n. = 삼차신경
lamina ;아주 얇고 평탄한 판
glenoid fossa / articular eminence
합이증 : 아래턱이 있어야할곳에 귀가 달리는 기형
상피돌기 추가
상피돌기=rete peg ; 치은상피와 그 하부에 있는 결합조직 사이에 있음. 하부의 결합조직의 일부가 상피쪽으로 돌출되어 치은상피와 결합조직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놈.
상피돌기 덕에 치은상피와 결합조직의 연결길이가 증가되어(나는 연결 면적이 넓어진거라고 이해함) 교합압이나 기타와력에 저항함
HERS = Hertwig Epithelial Root Sheath ; 허트위그상피근초
교직골 = woven bone
; 골모세포가 교직골 구성하는 콜라겐섬유 기질 생산 -> 골양조직 형성 -> 침착된 골양조직이 기질내에 갇히면서 교직골이 됨-> 교직골은 점차 층판골과 골수로 대체
; 안정된 골격지공 / 견고한표면 제공 / 골 전구세포의 근원으로 작용 / 세포기능과 기질 광화에 필요한 혈류 제공
유골 = 골양조직 = osteoid : 석회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의 골기질
tap water : 수돗물
shelf life = 저장기간
radiopacity : 방사선불투과성
retrognathism : 하악골후퇴증
prognathism : 하악골전돌증
외비공
아데노이드
snap removal : 인상을 구강내에서 뺄때 순간적으로 제거
유도면 = guiding plane ; 의치의 삽입과 철거를 유도하는 지대치상에 형성된 평행한 장축면
cingulum
wedging effect = 쐐기효과
구개 추벽 = rugae / incisive papilla / uvula
hamular notch / labial frenum / labial vestibule / buccal frenum / buccal pouch / buccal vestibule/ fovea palatinae / maxillary tuberosity /
포타슘 = 칼륨
압시법 : 검사조직을 유리판으로 눌러 검사
conical : 원뿔모양의
역령 = chronologic age ; 일반적으로 우리가 말하는 나이
발육연령 : 개인의 성장상태 (키 체중 이차성징 등) 를 반영하는 나이
수근골(=carpals) : 손목에 있는 8개의 짧은 뼈 / 중수골 / 수지골 / 요골 / 척골 / 완관절
장경 폭경
border molding
lingual flange / buccal flange / premylohyoid eminence => 셋다 구강내 구조가 아니라 인상체 또는 의치에서 볼수있는 구조
도대삭 = gubernacular cord
도대관 = gubernacular canal
인발
소성하다 : 광물류를 고온에서 굽다 정도로 이해
tissue conditioner
선재 : 와이어 정도로 이해
genial tubercle = mental spine = 이극 = 이결절
외골증 = 뼈돌출증 ; 기존의 뼈에 새로운 양성 뼈가 자라는거
우각 = 2차원에서의 각도 말고 3차원에서의 각도 즉 입체각
와동변연 = 와연 = cavity margin = 법랑질연 ; 와동내면의 측벽과 치아 외면과의 접한 부분
와연사면 = marginal bevel ; 와연에 경사면을 형성한 경우 그 경사면를 와연사면이라함
와연변연 ; 와연사면과 치아외면이 접하는 부분
와연우각 = cavosurface angle
butt joint
styloid process / 경돌설근=styloglossus m. / 이설근=턱끝혀근=genioglossus m. / 이설골근=geniohyoid m. / hyoglossus m. / 악설골근 = mylohyoid m.
악설골융선 = mylohyoid ridge = mylohyoid line
GG bur = Gates-Glidden bur
reamer
niti file 구조 / pitch / edge / flute / helical angle
rake angle
swing-lock labial bar
침식증
법랑질형성부전증
수지상(=dendrite) : 금속이나 합금 등의 용융액이 응고할때 생기는 결정 형태의 하나. 나뭇가지 모양으로 발달한 것 / 수지상정 = 수지상 결정
2차상아질 : 일차상아질이 완성된 후 치수강 내에 상아질이 침착
이유: 연령증가, 미약한 외상, 치아우식증 등
perikymata : 법랑질 표면까지 retzius 선이 연장되어 얕은 홈이나 구로 보이는거
false positive(잘못측정해서 양성으로판정함) / false negative (잘못측정해서 음성으로 판정함)
경화열처리 = hardening heat treatment = 시효경화 = age hardening = aging
연화열처리 = softening heat treatment =용체화처리 = solution treatment
가공경화 = strain hardening = cold hardening = 냉간가공
소둔= 소환 = annealing
strip perforation
목젖=구개수
bsp = BromSulPhalein : 간기능을 양적으로 표기할수있는 가장 예민한 검사 ;정상 45분후 혈장농도 5프로 이하
상아모세포 = 조상아세포 = odontoblast)
weeping canal - 근관 내 삼출물이 지속적으로 나오는 근관
apical patency / dentin chip
liner = 이장재
base = 기저재
periodontitis ; 치주염
전단응력 압축응력 전단응력
보상암 유지암
gypsum : 석고
규칙격자 = 초격자 = ordered structure = superlattice
법랑소주=enamel rod / 소주초 = sheath / 소주간법랑질 = inter-rod enamel
root trunk 의 길이 : CEJ에서 두개의 root cone 사이의 갈라진 부분까지의 거리
sucrose = 자당 = 설탕
fibroblast = 섬유아세포
수복에서의 Chisel (치즐)
Hatchet / gingival margin trimmer
PMN=다형핵호중구
보존개념=conservation concept : 사물은 그 모양이 변하거나 여러부분으로 나뉘어지더라도 그 전체적인 양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아는것 ; 예를들어 넓고 짧은 그릇에 들어있던 물을 넓지 않고 긴 그릇에 부은경우 보존적개념이 있다면 물의 형태가 달라졌지만 그 양은 동일하다고 인식할수 있으나 보존적개념이 없다면 형태가 달라졌으니 물의 양도 달라졌을거라고 인식
상악결절 = maxillary tuberosity
rigid connector는 nonrigid랑 다르게 key keyway로 나눠져있지 않고 쭉 하나로 되있음
non rigid connector의 key keyway
inter-abutement axis
켈로이드
group function occlusion
hamular notch = 구상절흔
pterygomaxillary notch는 hamular notch랑 동일 부위라고 생각하면댐
pterygomandibular raphe = 익돌하악봉선
pericoronitis=치관주위염
pus = 고름
osteitis = 골염
osteosclerosis = 골경화증
sclerosis osteitis : 경화성골염= condensing osteitis
수화팽창 : 물을 흡수하여 팽창
cortex lining= 상악동을 포함하는 함치성낭
미연소대 / 연소대 / 환원대 / 산화대
공랭 : 발생된 열을 공기중에서 냉각시키는거
산세 = acid pickling : 주조과정에서 주조체의 표면에 산화물이나 유화물이 생성되어 변색이 되면 주조체를 산용액에 넣고 가열함으로써 표면에 생긴 변색유발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데 이 과정을 산세 라고 함
이상음(bruit) 바람소리
apical stop /apical seat / open apex
carcinogen 발암물질
precurve : 만곡된 근관인 경우 작업하기 전에 파일을 미리 곡선으로 구부려서 작업하는데, 이렇게 미리 곡선으로 구부리는걸 precurve
elgiloy : Co-Cr-Ni 합금
nitinol : Ni-Ti합금
TTR=Temperature Transition Range : 전이온도
비루관=nasolacrimal duct / lacrimal gland / lacrimal sac / lacrimal canal / lacrimal puncta
tongue의 foramen cecum / palatine tonsil / lingual tonsil / sulcum terminalis / median lingual sulcum /
asymptomatic : 증상이 없는
한선 = 땀샘
lumen = 내강
teratoma :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에서 유래한 조직이 혼합되어 생긴 조성이 복잡한 종양
혼합치열기
median palatal raphe
spoon excavator
비구개관낭 (=nasopalantine duct cyst)
f
영장류공간(=primate space)
하악유견치 원심과 상악유견치 근심에 있는 공극
= 하악유견치 원심과 상악유측절치 원심에 있는 공극
leeway space
; (C + D + E) - (3+4+5)
이 차이로 인해 영구소구치가 맹출될 때 제2소구치 원심쪽에 남는 공간이 생기며, 대부분 영구치열기 초기에 일시적으로 관찰되다, 제1대구치가 근심이동하면서 빠르게 폐쇄됨
smear plug
tubule 막는 smear layer
절단교합(아마 절치간 교합 = edge-to-edge bite랑 동의어인듯)
전치부 반대교합시 설압자의 사용
pendulum 장치 = 펜둘룸
항핵항체 (=AntiNuclear Antibody)
핵성분(DNA,핵단백질 등)에 대한 자기 항체
자기면역질환을 진단하기 위한거
ESR(=적혈구침강속도) : 항응고제가 혼합된 정맥혈을 시험관에 넣고 정해진 시간동안 수직으로 놓았을때 시험관 내에서 적혈구가 혈장으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한거리
원심편자 = distal shoe
과색소침착(=hyperpigmentation) : 피부나 손발톱, 구강이나 비강을 둘러싸고 있는 점막등에 멜라닌 증가에 의해여 색이 검거나 갈색 등을 띄는 피부
macular : 반점이 있는
argyrosis (=은피증) ; 은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피부병 / 피부가 푸른색 또는 청회색으로 변함
acrodynia = 말단통증 ; 영아기와 소아기의 질환으로서 손가락의 동통, 종창 발적을 특징으로 함. 무기력성, 과민성, 발육불량, 광범위한 발진, 땀, 눈부심, 치아결손 뺨과 코끝의 발적등이 특징
GI upset : 제대로 소화 못시키고, 설사하고, 오심, 구토가 생기는거
오심 : 울렁거리면서 구역질나는거
dermatitis : 피부염
dermal : 진피
구협 : 입언저리
transfusion : 수혈
manifestation : 징후
arthritis : 관절염
edematous : 부종성
반상출혈(=ecchymosis) : 피하 또는 점막, 장액막 밑에 일어나는 작은 반상의 출혈
botropase : 지혈제
stratification : 여러 개의 층으로 분리되는 현상
classir triad : 전형적 증상
치근외흡수 : 치근의 겉표면에서 흡수
치근내흡수 : 치근의 내부 치수관 안에서 흡수
유결핵성병소 : 결핵과 유사한 병소
파동성(=flucturation) : 풍선에 물을 채우고 만지는 느낌
순환성허탈 : 정상적으로는 혈액순환 하면서 조직에 혈액과 산소를 공급받아야하는데 이에 이상이 생겨서 빈맥이 나타나는거
prophylaxis : 치면세마
아관긴급(=trismus) : 이가 꽉물려 입을 벌리지 못하는 상황
Thrush = 아구창 = 급성위막성 캔디다증
결정립 = crystal grain : 작은 결정으로 다결정 물질을 구성하는 작은 결정 입자
다결정물질 : 수많은 결정립들의 집합
결정립계(=grain boundary) : 다결정에서 결정립 간의 경계
결정립 미세화 => 결정립들의 크기가 작아지는 거
COPD(=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만성폐쇄성폐질환 ; 폐질환이나 심장질환등의 원인 없이 기도폐쇄가 발생하여 기류의 속도가 감소하는 질환군
집락 = colony => 수많은 개체들이 모인 집단
내용선량(=tolerance dose=toleranzdosis) : 악성종양에 방사선을 조사하면 선량값이 증가할수록 치유율이 상승하는데, 어떤 한계값을 넘어가면 종양세포를 처리하는 간질세포도 타격을 받아 치유율이 저하되게 되는데 이때의 한계값을 내용선량이라고 함
BOP = Bleeding On Probing ; 탐침시 출혈
일사성구순염(=solar cheilitis) : 광선을 쬔후 발생하는 입술의 염증
전암병소 : 암으로 이행될 수 있는 전단계의 병소
ex) 구강 전암병소 : 구강암으로 이행될 수 있는 전단계의 병소 : 백반증, 홍반증, 만성증식성캔디다증 등등
CVA = CerebroVascular Accident ; 뇌혈관사고
변연절제술 : 상처에 염증이나 괴사가 우려되어 지저분한 살점들을 일부 제거하는 수술
근치적 수술 : 완치를 위해 암종등을 완전히 제거하는 수술. 대략 공격적인 수술이라고 생각하면 될 듯
granular : 알갱이가 든 것 같은 / 오돌토돌한
초자화 : 치아에 강한힘이 가해졌을 때, 압박부위에서의 치근막을 압박하여 혈류량, 산소를 차단시킴 -> 산소부족에 의해 국소적 퇴행성변화, 괴사 일어남 -> 치조골의 압박부위면에서는 골흡수 일어나지 않고, 압박부위면 속의 골수강내에서 골흡수가 일어나는데, 이를 초자화라고 함
valium : 신경안정제 중 하나
superlattice : 규칙격자
TBI : 올바른 칫솔질 교육
내식성 : 금속부식에 대한 저항력
소작 : 열이나 전기 등을 이용해 특정부위 조직을 지짐으로써 파괴
punched out : 구멍뚫린 모양
와파린(=warfarin) / 아스피린
아스피린 효과 : 진통, 해열, 항암효과, 항응고효과(그래서 심근경색, 허혈성 뇌졸중 등을 줄임)
와파린 효과 : 항응고효과(그래서 뇌졸중 예방효과 겁나 좋음) / 그런데, 아스피린 등의 다른 약물들과 함께 복용하면 다른 약물들과 상호작용을 일으켜 와파린의 항응고효과가 엄청나게 높아져,(낮아지는 경우도 있음) 출혈 위험이 높아지고 심한경우 뇌출혈이 발생할수도 잇음
반상치 = mottled teeth : 흰색반점이나 노란색 또는 갈색 반점이 불규칙하게 표면에 착색된 치아
SRP = Scaling & Root Planning
탈산제 (=scavenger) : 합금에서 자신이 먼저 산화되어 버려서 합금 본체의 산화는 방지하는 놈 (희생하는놈)
해산부 : 아이를 낳을 사람
인수공통 감염병 : 사람과 동물 사이에서 상호전파되는 병원체에 의한 전염성 질병 (ex. 광견병)
치근단낭종 = 치근단주위낭종 = 치근낭종 = 치근주위낭종
flare-up : 근관치료 전에 증상이 없던 치아에서 치료 후에 갑자기 동통, 종창이 생기는 경우
급성치근단치주염
-
외상, 근관 통한 자극, 감염에 의해 치주인대에 동통성 염증 발생(치수, 실활유무와는 관련없음)
근단변위 판막술 = apically positioned flap : 전층 혹은 부분층 판막을 젖혀 원래위치보다 치근단 쪽으로 이동시킴. 그렇게하면 치주낭부분이 없어지고 치근 노출양이 수술전보다 많아지며 부착치은 양이 많아짐
veneer : 얇은 판
비가역성 하이드로 콜로이드 인상재 ex) 알지네이트
가역성 하이드로 콜로이드 인상재 ex) 아가=agar
장방형 = 직사각형
rectangular incision = 장방형 절개
치은선 : 상악중절치와 견치 치관의 가장 높은 지점을 연결한 선
저항중심 = center of resistance = CRe
: 운동이 제한되고 있는 물체의 한 지점에 힘을 가했을 때, 회전운동 없이 직선운동 일어나면 그 지점을 저항중심이라고 함
회전중심 = center of rotation = CRo
: 물체가 어떤 힘을 받아 회전운동할 때 그 회전운동의 중심을 회전운동이라 함
짝힘 = couple
일직선 상에 존재하지 않고,
크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이며,
그힘이 물체에 가해졌을때
물체가 순수한 회전운동을 하면 그러한 힘을 짝힘이라고 함
reciprocal anchorage = 상호고정
두개 혹은 그이상의 치아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같은 형태로 움직이는 경우의 고정
원발성 = 본태성 = 특발성(=idiopathic) = 일차성 : 그 자체에서 원인이 시작된 경우, 즉 원인을 잘 모르는, 그냥 생긴…
ex) 특발성 부종 = 원인질환없이 부종이 생기는 경우
속발성 = 이차성 : 다른 곳에 따로 원인이 있는 경우
전이성 => 전이된
ex) 원발성 암 : 해당장기에서 처음 시작된 암
ex) 전이성 암 : 다른 장기로 퍼진 암
불소증 : 불소를 장기간 과다하게 섭취시 생기는 병
산전 = 출산전
미만성 = 두루두루 퍼져있는
반대) 국한성 : 일부분에 국한되어 있는
미란성
정복성 vs 비정복성
정복성 :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오는
비정복성 :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오지 않는
병인 = etiologic factor
: 특정질병의 원인이 되는 요소
소인 = predisposing factor
: 질병이 발현될 수 있는 경향성
쌍생치 = gemination : 한 개 치배에서 2개의 치아로 분리 (치관2 치근1)
유합치 = concrescence : 2개의 독립 치아가 치관이 형성된 후 치근의 백악질 부위가 서로 결합
쌍결절형성치(=twinning) ; 한 개의 치배에서 완전히 독립된 2개의 치아가 발생
일차상아질 : 치아 뿌리가 완성되기 전에 만들어진 상아질(dentin)
이차상아질 : 치아가 완성된 후에 만들어진 상아질
삼차상아질 = 수복상아질 : 충치, 마모, 수복물 등의 자극에 의해 반응하여 급히 수복하려고 일차 또는 이차 상아질의 표면에 형성되는 상아질
nasopharynx / oropharynx / hypopharynx / hyoid bone=설골 / trachea
convex : 볼록
concave : 오목
타석증
대, 소 타액선의 도관에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석회화 되어 단단한 타석이 존재
골육종
: 쉽게 말해 뼈에서 발생한 암
간접치수복조술 : 치수가 노출되지 않고, 임상적 증상이 없는 환자에서, 병소의 심한 우식만 제거하고, 미생물 억제 할 수 있는물질(ex. ZOE 수산화칼슘, GI cement 등) 로 와동을 밀봉하는거 (약제의 약리적 효과보다는 밀봉이 핵심)
constipation = 변비
삼투압
A용액의 삼투압은 ~ => A용액의 농도는~ 으로 받아들여..
A용액이 B용액보다 삼투압이 높다 => A용액의 농도가 B용액보다 진하다
협심증 : 심장관상동맥이 좁아져 가슴이조이가 뻐근한 느낌 듬
소파술 = curettage
: 치근활택술과 구분해보자
치근활택술은 치근에 붙은 치석을 긁어내는 거고, 소파술은 치주낭의 염증있는 치은 조직을 절제후 제거하는 것
위막성 : 막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막이 아닌
atrophic : 위축성의
reticular : 망상형의 = 그물모양의
의사의 주의의무 : 의사는 의료행위시 타인의 생명 또는 건강에 위해를 초래하지 않도록 집중해야함
합착재 : 치질과 주조체를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는 재료
다이공간부여재 = 다이 spacer
치질과 주조체 사이의 합착재 공간을 부여하기 위해 다이에다 다이 spacer 바른후 wax up 함
그러면 주조체가 만들어질 때, 다이 spacer 발라진 부분 만큼은 주조가 안되니까 그 주조 안된 부분이 합착재 공간의 역할을 하게됨
신전성 : 늘어나느 성질
촉진확산
특정 분자 또는 이온이 특정 막단백질을 통해 고농도에서 저농도로 확산되는 현상 (E필요 없음)
항무스카린제
: 부교감신경 작용 차단 (ex. 타액분비 억제
초회통과 대사 = 일차통과 효과 = first-pass effect
-
경구 투여된 약물은 소장에서 흡수된 후, 곧바로 전신순환계로 들어가지 않고, 간으로 먼저 수송되는데, 이때 간에서 약물대사가 일어나 약효가 줄어드는 현상 일어남
(경구로 투여되는 약은 first-pass effect가 필연적으로 일어나므로 너무 first-pass effect가 큰 약물은 약효가 너무 줄어드니까 경구가 아닌 주사제나 경구제 등으로 투여해야함
EDRF : 내피세포유래 평활근이완인자
Endothelium Derivated Relaxing Factor , 혈소판 부착 억제
intolerance (=불내성) 특정 성분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등이 없는 상태
ex) 유당 불내성
secondary effect(=이차반응)
: 약물의 일차약리작용에 의한 간접적인 결과
idiosyncrasy(= 특이체질반응) : 유전적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약물에 대한 비정상적인 반응
hypersensitivity(=과민반응) : 적응용량에서도 약물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
mydriasis : 동공확대
동공간선 = interpupillary line
: 양동공을 이은 선
hard end-feel
carvosurface margin / carvosurface angle /
구순열, 구개열
구순열; 입술갈림증
구개열; 입천장갈림증
치은치조점막수술
PS = physical status = 신체상태
flaring ; 확대
ex) coroanl flaring 치관부 확대
기왕력
예를들어 심근경색의 기왕력을 가진다 = 심근경색을 가진 적이 있다
정출
치아가 정상위치보다 더 과도하게 나오는거
켄틸레버 유형
지지 안정 유지
지지 : 수직적으로 눌리는 힘(예를들어 저작력)에 대한 저항력
유지 : 잘붙어있는거를 수직적으로 떨어뜨리려는 힘(예를들어 껌씹을 때 껌이 틀니 빼려는힘)에 대한 저항력
안정 : 수평력에 대한 저항
아급성
- 급성과 만성의 중간성질
감별진단
증세가 유사한 질병들을 감별하여 진단하는거
치조점막
치조골을 덮고있는 점막
육종
(일반적으로 '암'이라고 부는 암종들이 상피 세포에서 유래한 것에 반해,) 육종은 근육, 결합조직, 혈관, 뼈, 연골 등에서 생긴 악성 종양입니다
원격 전이
원격 전이(암 덩어리 주변이 아닌 인접하지 않은 먼 곳의 장기로 전이되는 것)
용혈성 빈혈
적혈구가 혈액순환 도중에 비정상적으로 용해되어 파괴되어 버리므로 생겨나는 빈혈이다
reed Sternberg cell : 부엉이 눈모양 , 호즈킨림프종에서 관찰
~ectomy / ~otomy
]~ectomy는 일부분을 완전히 제거 하는 것, 즉 잘라내서 버리는 것. 사용빈도는 ~ectomy 가 훨씬 많음.
~otomy는 특정부위를 잘라내어 수술을 하고 나서 아까 잘라냈던 부분을 다시 원래 있던 자리에 부착시키는 것
가공치 = pontic
치간치은 = 치간유두 = interdental papila / 비부착치은 = 유리치은 = free gingiva = 변연치은 = marginal gingiva / 부착치은 = attached gingiva 치조골에 부착 / 치은점막 경계부 = mucogingival junction / 치조점막 = alveolar mucosa / 치조돌기 = 이틀돌기 ; 치조골에서 치아가 박혀있는 부분 주위에 튀어나온 부분
치은 = 치간치은 + 비부착치은 + 부착치은
치주조직 = 백악질(=cementum) + 치주인대 + 치은(=잇몸=gingiva) + 치조골
치은상피 열구상피 접합상피
A : 바깥부분 상피를 치은상피
B : 안쪽부분 상피를 열구상피(=sulcular epi) B부분자체를 치은열구
C : 안쪽부분 상피를 접합상피 / C부분자체를 상피부착부
D : 안쪽부분을 결합조직 / D부분자체를 결체조직부착부
치석제거술=scaling=스케일링
치근활택술=root planing
치석 치태
치석 ; 치태가 광물화된 것
(치석의 표면에는 살아있는 세균성 치태로 덮여있다)
활택 : 부드러운거
치근피개
치은이 벗겨진 치아에서 다시 치은이 덮이게 하는거
치조융선의 결손 = 융선결손
classI : 치조융선의 높이 정상 / 폭 결손
classII : 치조융선의 높이 결손 / 폭 정상
classIII : 치조융선의 높이 결손 / 폭 결손
절치 : 중절치+ 측절치
전치 : 중절치 + 측절치 + 견치
간질성장
이미 형성된 구조가 내부의 비대나 비후로 그 크기가 커지는 현상
연골성 골형성
- 골형성 과정에 연골이 역할을 하는 기전
- 연골이 존재하는 모든 신체 골조직에서 볼 수 있는 골형성기전
- 간질성장에 의해 이루어짐(세포 과증식과 세포비대가 동시에 발현됨)(연조직의 성장원리와 동일)
- 대략적인 메커니즘 ; 일단 뼈가 만들어져야 할 부위에 연골이 생성되어 대략적인 틀 제공 -> 파골세포, 조골세포가 틀 역할을 하고 있는 연골을 제거해가면서 골형성
- 골막성 골형성 과 대비되는 뚜렷한 특징 세가지
1. (연골이 골형성에 개입하는) 연골성 골형성이 (연골이 골형성에 개입하지 않는) 골막성 골형성보다 형성속도가 빠르다 (연골형성과정이 개입되어서 형성속도가 더 느릴 것 같지만, 실제로는 더 빠르다)
2. 연골성 골형성은 일정한 성장 방향성이 있다.(완벽하게 한 방향으로만 형성하는건 아니나 그래도 방향성이 있다고 볼수있음)
반면, 골막성골형성은 명확한 성장 방향성이 없음
3. 연골성골형성시 활발한 운동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성장을 지속할 수 있다.(연골이 압력에 대한 방어역할을 해서) 반면 골막성 골형성은 그렇지 못함(골세포가 압력 그대로 받게되어 새로운 조직 형성안됨)
- 해당부위 : condylar head / cranial base / synchondrosis / nasal septum
- 성장부위 : pressure 와 tension side에서 성장 (골막성골형성에서는 tension side에서만 성장)
- 성장중심 : 하악
임상적인 치관 vs 해부학적 치관
임상적인 치관 => 접합상피 상부의 치관
해부학적 치관 => 법랑질에 싸여있는 치관
모자보건 : 아기와 엄마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건강관리
1ppm => 10^-6
개재물 : 금속중에 끼어있는 비금속물질
col (밑에 그림의 검정색부분 아님. 검정색부분은 접촉점)
scalloped : 부채꼴 모양의
각화 / 착각화
각화 : 세포가 케라틴으로 꽉차는거
착각화 : 세포가 케라틴으로 차긴 차는데 세포핵 등도 관찰되는거
입방형 : 주사위(정육면체) 형태의
간극연접 = gap junction ; 특정 단백질로 구성된 통로 통해 두세포의 세포질이 연결
교소체 = desmosome
반교소체 = hemi desmosome = 반부차반
전방유도 = anterior guidance = 절치유도
수직피개 수평피개 의 정도
이느낌으로 기억하면 됨
왜 이게 이름이 전방유도냐면 수직피개 수평피개의 정도에 따라 하악의 전방부 운동이 어떻게 움직이는가가 결정되고 제한되기 때문
(반면, 과두유도가 하악의 후방부 운동을 결정하고 제한함)
영플라이어 / 트위드루프밴딩플라이어 / 트위드아치밴딩플라이어 / 버드빅플라이어 / 라이트와이어플라이어 / 쓰리죠플라이어
열간가공
재료를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재료에 응력을 가해 모양을 변형시키는거 / 연성과 강성은 변하지 않음 / 탄성 등의 특징은 변함
냉간가공 재료를 낮은 온도에서 재료를 변형시키는거 / 재료를 녹여서 성형틀에 붓는 등의 방식이 아니라 찍어내기 등의 방법을 이용함 / 강도와 경도 높아짐 / brittle해짐 /
annealing (=소둔) 일정온도에서 어느시간동안 가열한 후 비교적 느린 속도로 냉각하는 작업 /
소둔의 목적 : 잔류응력제거 / 연성,인성 증가
ALD = 치열궁길이 부족량
반점치
요변성 (=thixotropic) : 흔들리면 겔(gel)에서 유동성의 졸(sol)로 변화하고, 방치하면 다시 겔(gel)로 돌아가는 성질
무위위축(=disuse atrophy)(=inactive atrophy)=불사용위축 : 기능적 자극이 감소되어 일어나는 근육이나 생체 기관에서의 퇴행 위축현상 , 즉 장기 또는 조직이 장기간에 걸쳐 기능이 억제되면 위축이 되는 현상을 말함
찰과상 / 타박상 / 절상 / 자상 / 열상
비가역성 하이드로콜로이드 인상재 = 알지네이트
Vermilion border = 구순연
미숙골 = immature bone
성숙골 = mature bone = 층판골 = lamellar bone
성숙골은 피질골 / 해면골로 구분
피질골(=compact bone) / 해면골=망상골(=spongy bone) / 골막(=periosteum) / 하버스관=harversian canal=골원관=osteonic canal / 관통관=볼크만관=perforating canal / 골소주(=trabeculeae)
조골전구세포 = osteoprogenitor cell ; 조골세포로 분화할놈
조골세포 = osteoblast : 골기질 단백질 합성, 분비 / 뼈가 생성되면 그속에 묻혀서 골세포가됨
골세포 = osteocyte ; 완전히 발육된 뼈의 주세포 (더 이상의 분열능력 없음)
파골세포 = osteoclast : 골흡수를 담당하는 다핵성 거대세포 / 골흡수공간(howship lacuna)에 들어있음
골표면세포 = bone-lining cell ; 골표면위에 위치하는 길고 납작한 세포
가골 (=callus) = 애벌뼈
: 뼈가 부러졌을 경우에 회복과정에서 생기는 성긴 조직을 가지고 있는 뼈. 회복의 마지막 단계에 이르면 이 뼈는 정상적인 뼈조직으로 바뀜
greenstick fracture = 부전골절 ; 골격이 완전히 부러지지 않고 골간의 일부분만 골절되는 불완전한 골절
ameloblast = 법랑질모세포
양안격리증 = hypertelorism ; 두눈사이의 거리가 정상범위를 벗어나 멀리 떨어져 있는 질환
이마뼈(=frontal bone=전두골) / 마루뼈(=parietal bone=두정골) / 관자뼈(=측두골)(temporal) / 뒤통수뼈(=후두골) / 나비뼈(sphenoid)=접형골 / 눈물뼈 / 코뼈(nasal) / 광대뼈(=관골)(zygomatic) / 벌집뼈(=사골)(=ethmoid bone) / 광상봉합 / 하악공 / 경상돌기=styloid process /외이도
협골궁=zygomatic arch = 관골궁 /
관골의 관골돌기는 밑 그림의 초록색
상악골의 관골돌기는 밑 그림의 초록색 앞부분
치경부소환(=cervical burn out)
hypochromic anemia = 혈색소감소성빈혈 = 저색소성빈혈 ; 적혈구 크기는 정상이나 Hb 부족
microcytic anemia = 소적혈구성 빈혈 ; 적혈구의 크기감소
aplastic anemia = 재생불량성빈혈 => 골수기능저하로 적정수의 혈구생성이 안됨
polycythemia : 적혈구 증가증
pernicious anemia : 악성빈혈
glossodynia : 통증 있는 혀
glossopyrosis : 작열감 있는 혀
간비종대 : 간과 비장이 붓고 커진거
spirochete : 나선균
striated duct : 줄무늬관
motile rod : 운동성막대균
beafy tongue : 붉은혀
sickle cell anemia : 겸형 적혈구성 빈혈
spleen 비장
agranulocytosis : 무과립구증 : 과립세포의 생산감소나 파괴증가로 과립세포(특히 호중구)가 없는 상태
degranulation : 탈과립화
과립세포 : 최전선에서 염증(적과의 전투)에 참여하는 군사
HPV = Human Papilloma Virus : 사람유두바이러스
Papule(=구진) : 피부에 나타나는 작은 발진
dyskeratosis : 각화부전증
melanocyte : 멜라닌세포
eosinophilia : 호산구증가증
트롬빈(=thrombin) : 혈액응고에 관여
아프타 : 구강점막등에 나타나는 적색 or 회색의 작은궤양
분진 : 공기, 가스속에 존재하는 고체 미립자
헤마토크리트(=hematocrit=hct) : 전혈액중에 적혈구가 차지하는 부피를 %로 표시한 것
carboxylic acid : -COOH가 있는 유기산
neutrophilia : 호중구증가증
oncocytoma : 호산성과립세포종
RBC = Red Blood Cell ; 적혈구
WBC = White Blood Cell : 백혈구
Thalassemia : 지중해성빈혈 = 쿨리 빈혈
<근관치료의 개념>
|
유치 or 미성숙영구치 (근첨 open) |
성숙영구치 (근첨 closed) |
우식이 치수까지 침범X 생활치(치수살아있음) 치수와 한참 떨어져있음 |
일반수복(레진수복) |
일반수복(레진수복) |
우식이 치수까지 침범X 생활치 치수와 닿을락말락 |
간접치수복조술 |
간접치수복조술 |
우식이 치수까지 침범O but 생활치 치관부치수O (살아있음) 치근부치수O (살아있음) |
apexogenesis (=치근단유도술)
직접치수복조술(=direct pulp capping) |
apexogenesis X (근첨이미닫혀있으니까)
직접치수복조술(=direct pulp capping) |
우식이 치수까지 침범O but 생활치 치관부치수X 치근부치수O |
apexogenesis (=치근단유도술)
치수절단술 |
apexogenesis X (근첨이미닫혀있으니까)
치수절단술 |
우식이 치수까지 침범O 실활치 치관부치수X 치근부치수X |
apexification (=치근단형성술) 치수절제술 후 Ca(OH)2 충전 -> Ca(OH)2교체 -> 경조직형성되면 Ca(OH)2제거하고 근관충전 |
|
1. 일반수복(레진수복)
2. 간접치수복조술(=indirect pulp capping) (우식이 치수에 닿을락말락)
- 우식치아에서 연화상아질(=soft dentin)을 완전히 제거하면 치수노출이 일어날수도 있는 치아에 적용
- 연화상아질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아서 치수를 노출시키지 않고, 얇은 잔존 상아질층 상부에 수수산화칼슘 등을 도포하여 연화상아질의 석회화를 시도
3. 직접치수복조술(=direct pulp capping)
- 건전한 치수가 우식이나 외상으로 인해 약간만 노출되었을 때 적용
- 치수가 노출된 부위에 약제나 진정제를 도포해 수복상아질을 형성시키고 치유를 촉진
=> 와동형성 -> 노출된 치수 지혈 -> 수산화칼슘(Ca(OH)2) 등을 노출된 치수에 도포
-> ZOE, ZPC, GI 등으로 임시충전 -> 일정기간 관찰 -> 영구충전재로 충전
치수절단술 = pulpotomy / 치수절제술 = pulpectomy
apexification = 치근단형성술
anticariogenic : 항우식성의
*고정성보철의 술후 관리와 예후
- 정기적 검진의 시점과 간격
일반적 : 6개월에 한번
구강관리 어려운환자 : 3~4개월에 한번
임플란트 : 술후1주 / 1개월 / 3개월 / 매6개월
- 고정성보철물 최종 장착하고 1~2주 후 확인해보아야할 사항들
-- 치수나 치주를 자극해보았을 때 정상적인 반응을 하는지 검사. 환자의 주관적인 감각과 객관적인 검사를 통해 검사해야함 (출처.라플p72)
-- 지대치에 동요도 증가 / 치주인대폭 증가 => 교합기능이상이 원인일 수 있으므로 교합간섭이 존재하는지 확인해보아야함 + 진탕이 있는지 확인해보아야함 (출처. 16(198)기출 , 19(198)기출)
-- 부착치은의 양 => 부착치은의 양이 부족한 경우, 만성치주염이 생길 가능성이 높음 (출처. 18(198)기출)
-- 치은변연에 염증이 생겼을경우 -> 치은열구 내 잔존 시멘트에 의해 염증 생겼을 가능성이 높음. 따라서 치은열구내 잔존시멘트가 있는지 확인 (출처. 16(198)기출)
cristae :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주름
결체조직 = 결합조직
keratoconjunctivitis sicca : 건성각결막염
stensen's duct = parotid duct = 이하선도관
광경근 = 넓은 목근 = platysma
mucoepidermoid ca. => 점막표피모양 암종
mumps : 유행성이하선염 = epidermic parotitis
bimaxillary protrusion : 상하악골의 기저골이 모두 앞으로 튀어나온 상태
bialveolar protrusion : 상하악의 치조골, 치아만 앞으로 튀어나온 상태
xerostomia : 구강건조증
atypia : 이형성
ranula : 하마종
sialolithiasis = salivary stone : 타석증
변연누출 = marginal leakage
수복물에서의 미세누출 감소시킨다 = 그냥 대충 치질과 수복물 사이 틈을 줄인다 정도로 받아들이자.
bicarbonate ion = HCO3-
cannulation : 정맥에 주사바늘 삽입하는거 정도로 생각
leukopenia : 백혈구 감소증
IL = InterLeukin ; 인터루킨 ; 시토카인의 하나로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림프구의 증식과 분열을 유도하는 인자.
도재 greening effect : 은산화물이 세라믹 내로 확산되어 변색을 일으키는거
부동태 (passivation=passivity) : 본체 겉표면에 생긴 얇은 산화피막으로 본체가 산화되는거 보호 한다는 정도로 기억
알루미나 : Al2O3 : 알루미늄 산화물
inceram : porcelain 내에 알루미나를 넣으면 알루미나가 porcelain 내부에서 필러로 작용하여 crack을 막고 강도가 증가함
porcelain : 도재
adenomatoid : 선양 ; 조직학적으로 duct나 gland같은 형태를 보이는
opaque : 불투과성을 보이는
foci : focus의 복수형
pindborg tumor = Calcifying Epithelial Odontogenic Tumor = CEOT : 석회화상피성치성종양
myxoid tissue : 점액성 조직
과오종 = hamartoma : 정상성숙세포가 수나 분포에 있어서 비정상적으로 과잉성장 또는 증식하여 비정상세포가 아님에도 양성종양과 비슷한 병터를 갖고있는 상태
OKC = Odontogenic KeratoCyst = KCOT = 치성각화낭
osteopetrosis : 골화석증 = albers-schonberg dx = marble bone disease
cleidocranial dysplasia = 쇄골두개이형성증
2급고무줄 : 2급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고무줄
incisors = 절치 : 중절치+측절
cuspids = 견치
bicuspids = 소구치
molars = 대구치
의원성 손상 : 의료행위로 인해 일어난 손상
retentive area = 잔류지 : 치태나 음식물 잔사가 축적될수있는 장소
intrusion : 압하 : 들어가도록 누르는거
대타액선 vs 소타액선
대타액선 : 3개의 대타액선 ; 악하선 이하선 설하선
소타액선 : 다수의 소타액선
sarcoidosis : 유육종종
trismus : 개구장애
sialadenitis : 타액선염
necrotizing sialometaplasia : 괴사성 타액선 화생
화생(=metaplasia) : 이미 분화를 마친 조직이 형태적, 기능적으로 다른조직의 성상을 띠는 병적인 현상
수경성 = hydraulic : 각종 시멘트가 물 또는 수용액과 반응하여 용해도가 작은 수화물을 생성하여 경화하는 성질
군발성두통 : 매우 심한 통증이 밤마다 주기적으로 몇주 또는 몇 개월에 걸쳐 나타나는 두통 / 6개월에서 1년정도의 주기로 발생
하소(=calcination) ; 가열조작의 일종으로 외부에서 열을 가해 탈수, 기타의 분해를 일으켜 휘발성분을 분리하는 경우
구심신경 = 감각신경
원심신경 = 운동신경
lathe-cut 절삭형 = 분쇄형
spherical : 구상형
쐐기형 = 윗부분이 넓고 밑부분이 좁은 V자형
중이 추골(malleus) 침골(incus) 등골(stapes)
dental lamina = 치판 : 걍 치아가 될 놈 정도로 기억
성아세관=dentine tubule / 관주상아질=peritubular dentin /관간상아질=intertubular dentin / 구간상아질 = interglobular dentin
synchondrosis = 연골결합 ; 골과 골사이를 연결하는
scc = Squamous Cell Carcinoma : 편평세포암종
euchromatin : 진정염색질 (염색질 상에서 발현되어야할 유전자들이 많이 밀집되어 있는 부분 / 활발히 전사 일어나는 경우가 많음
punched-out appearance : 구멍뚫린모양
PCD = Periapical Cemental Dysplasia = 치근단백악질형성이상 Periapical osseous dysplasia = 치근단골형성이상 ; 치근단백악질형성이상에서 치근단골형성이상으로 명칭이 변경됨 : 치근단부위의 골조직이 섬유조직 및 백알질, 비정상적인 골조직으로 대체
FOD = Florid Osseous Dysplasia : 개화성골형성이상
FD = Fibrous Dysplasia : 섬유형성이상 ; 골조직의 비정상적인 대사로 정상적인 골조직이 섬유조직과 미성숙골로 대치되는 발육이상
CGCG = Central Giant Cell Granuloma
파제트병 = paget disease = osteitis deformans = 변형골염
후이개동맥 = posterior auricular a.
mesonurium = 신경중막 / epineurium = 신경외막 / perinurium = 신경주막 / endonurium = 신경내막 / 신경섬유다발 / 신경섬유 / myelin sheath=수초 / 슈반세포 / axon = 축삭
degassing : 재료나 제품등의 외부표면 또는 내부에 있는 가스를 물리적인 방법으로 제거하는것
urethritis : 요도염
oral cytology : 구강세포진단검사 : 병소부위에 탈락 세포를 채취하여 간접적으로 병소의 본체를 알아내는 시술
reservoir : 용융된 금속의 저장역할을 하여 주입로의 금속이 먼저 냉각되는것을 방지하는 장치
mandibular symphysis
하악지 하악지전연 하악지후연
pterygomaxillary fissure = 익상악열 = 날개위턱틈새
pharyngeal canal / inferior orbital fissure / pterygoid canal / greater palatine canal
sella turcica / foramen magnum
내측익돌판 = 안쪽날개판 = 내측익상판 = medial pterygoid plate
외측익돌판 = 가쪽날개판 = 외측익상판 = lateral pterygoid plate
익상돌기 = 날개돌기 = pterygoid proccess
ethmoid cell / crista galli / perpendicular plate / cribriform plate(=사판) /
cribriform : 체모양의 (체처럼 작은 구멍들이 있는)
abutment = 지대치
결체조직 = 결합조직
ring sign ; 손수건을 떨어뜨렸을 때, 혈액성분은 중앙에 남아있고, 맑은 액은 주변에 환상을 나타냄
염발음 (=crepitus) ; 뼈사이 관절등에서 딱딱 소리가 나는거
결찰 (=ligation) : 떨어지지 않게 묶는거
안검 = 눈꺼풀 = 상안검 + 하안검
alopecia : 탈모
diarrhea : 설사
stomatitis : 구내염 ; 구강점막에 생기는 염증
induration ; 경결감 ; 딱딱한 느낌
dysfunction : 기능장애
tremor : 떨림 ex)hand tremor 수전증
clammy skin : 촉촉한 피부
abdominal colic : 복통
renal dysfunction : 신기능장애
encephalopathy : 뇌병증
pruritus : 가려움증 = 소양증
exfoliative : 벗겨낸
표재성 : 겉으로 살짝 나타나기 시작하는 성질
osteoporosis 골다공증
비골안와사골 복합골절
안궁=face bow
이 기계가 안궁(=facebow)임
1급 부정교합 2급부정교합 3급 부정교합
해부학적치아 = anatomic teeth = 33도 구치 = 30도 구치
자연치아의 해부학적 형태를 거의 같은 모양으로 모방하여 제작된 인공치
교두 경사각도가 33도라 33도구치라고 하기도 함
교두 경사각도(=교두경사)라는 것은 하악제1대구치의 근심협측 교두의 경사와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
예를들어 교두경사각도가 33도라는 의미는 다음 그림을 봐라
반해부학적치아 = semianatomic teeth = 20도구치
해부학적치아와 비해부학적치아의 중간형
교두경사각도가 20도라 20도구치라고 부르기도함
비해부학적치아 = nonanatomic teeth = 0도구치
교합면이 자연치아의 해부학적 형태와는 전혀 맞지 않음
철저히 기계적인 원리에 근거를 둠
교두경사각도가 0도라 0도구치라고 부르기도함
교두경사각도가 0도이긴 하나 약간의 groove나 기계적인 양상을 갖고있긴함
이소맹출 = ectopic eruption
고유치조골(=alveolar bone proper) / 층판골 / 다발골/ 지지골 / 망상골 / 치밀골 / 치조백선(=lamina dura)
열성장
-성장이 덜됨
ex) 상악열성장 : 상악이 성장이 덜됨
fibroplasia : 섬유조직형성
; 손상의 치유를 위해서 일어나는 섬유조직의 형성
bohn’s nodule
angiogenesis : 혈관신생
고착 : 각 발달단계에서 추구하는 욕구가 불충족되거나 과잉충족하게 되면 다음단계로 발달하지 못하고 그 단계에 머무르게됨 / 불충족시 욕구불만, 과잉충족시 몰두
태생 : 아직 출생전
합이증
; 턱이 없거나 아래턱이 있어야 할곳에 귀가 달리는 기형
악설골근 = mylohyoid m / 이복근 = digastric m.
masseter m. / temporalis m. / 입둘레근(=구륜근=orbicularis oris) / buccinator m.(=볼근=협근) / medial pterygoid m. / lateral pterygoid m. / 위입술 올림근(=상순거근= levator labii superioris m.) / 상순절치근 = incisive labii superioris m. / depressor septi / mentalis /
BMP = 골형성유도단백질 ; 골전구세포가 골아세포로 분화하도록 유도
DFDBA : 탈회동결건조골
상악동 함기화
상악동은 기본적으로 팽창하려는 성질이 있는데 예를들어 치아가 발치된 경우 치아의 뿌리가 존재하던 부위의 뼈가 흡수되고 잇몸뼈가 얇게 되어 결국 상악동 바닥 두께가 종잇장처럼 얆게 됨
이를 상악동 함기화라고 함
즉, 발치 후 상악동의 부피가 커짐에 따라 잇몸의 뼈가 흡수되어 잇몸뼈가 종이장처럼 얇게되는 현상. 만약 임플란트 식립 시 상악동 거상을 해야 할 상황이 발생함
소양감 ; 피부가 가려운 증상
cusp angle =교두각
polymorphism : 다형성
hair-on-end-appearance : 머리카락선모양
Hagg와 Taranger
1. 엄지
S(ulnar sesamoid) :
- 엄지 종자골(=sesamoid bone)이 골화된시기
- 사춘기성장의가속기(Onset-PHV)에 관찰 (PHV1년전-PHV에 관찰 by라플)
2. 중지
DP3 - I: (DP3 = Distal Phalanx of 3rd finger)
- 중지의 distal phalanx와 middle phalanx사이의 골단(=epiphysis)과 골간단(=metaphysis)이 완전히 융합된시기
- 사춘기성장의 감속기(PHV-End)에 관찰
|
|
MP3-F : (MP3 = Middle Phalanx of 3rd finger)
- 중지의 middle phalanx와 proximal phalanx사이의 골단이 골간단만큼 넒어져 있는 시기
MP3-FG
- 중지의 middle phalanx와 proximal phalanx사이의 골단이 골간단만큼 넓어져 있고,
골단의 좌우측 경계가 명확해져 직각형태 띄는 시기
- PHV1년전-PHV에 관찰
MP3-G :
- 중지의 middle phalanx와 proximal phalanx사이의 골단의 각 측면이 두터워지고
골간단에 모자를 씌운것처럼 편측이나 양측에서 원심쪽으로 날카로운 각(Sharp edge)을 볼수 있는 시기
- PHV-PHV 1년후에 관찰
MP3-H :
- 중지의 middle phalanx와 proximal phalanx사이의 골단과 골간단의 융합이 시작되는 시기
MP3-I :
- 중지의 middle phalanx와 proximal phalanx사이의 골단과 골간단의 융합이 완전히 이루어진 시기
- End이후에 관찰
3. 요골(radius)
R-I :
- Radius의 distal 골단과 골간단의 융합이 시작되는시기
- End1년전-End 에 관찰
R-IJ :
- Radius의 distal 골단과 골간단의 융합이 거의 일어났지만 가장자리쪽은 아직 작은 간격이 있는 시기
- End이후에 관찰
R-J :
- Radius의 distal 골단과 골간단의 융합이 완전히 이루어진상태
- 이시기에 이르면 악골성장이 더이상 없다고 생각하여 턱교정 수술시기로 판정하는 객관적인 자료로 이용
모지
치열궁 길이 / 견치간 너비 (치열궁의 전방부 직경) / 구치간 너비 (치열궁의 후방부 직경)
치열궁패리미터=치열궁둘레
flush terminal plane / mesial step / distal step
ball-in-hand : 손에 공을 쥔 모양
치아가 출은하다 = 치관의 일부분이라도 구강내에서 관찰된다
비강 비인두 혀인두 하인두 후두 기관지
구개범인두 : 연하운동중 음식물이 코속으로 유입되는거 차단기능 / ㅁ ㄴ ㅇ 제외한 모든 발음시 관여(구개범인두 부전시 ㅁㄴㅇ 제외한 발음을 할때 콧소리가 많이남)
Dx
Diagnosis
Tx
Treatment
지치 = 사랑니
ugly duckling stage
식편압입 (=food impaction) ; 음식이 이에 끼는거
이소종 (=choristoma) = 분리종
원래 있어야 할 위치가 아닌 엉뚱한 곳에 위치
백혈구 유주 : 백혈구가 혈관 내피의 혈관벽을 뚫고 간질내로 나가는거
형질세포 : 항체생산하는 세포
fibrosis => 섬유증 ; 섬유조직 증식
림포카인 : 림프구가 항원에게 자극 받아서 분비하는 물에 잘 녹는 성질 가진 물질
아급성 : 급성과 만성의 소견이 함께 나타나는
suspension : 현탁액
관절융기 (=articular eminence)
시상면에서 봤을 때(옆에서 봤을 때) 하악이 전방운동시 과로(과두가 움직인 길)와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 => sagittal protrusive condylar angle => 이게 아마 과두유도각(=관절융기각)일듯
시상면에서 봤을 때(옆에서 봤을 때) 하악이 측방운동시 비작업측(=균형측) 과로(과두가 움직인 길)와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 => sagittal lateral condylar angle
fisher’s angle => sagittal lateral condylar angle - sagittal protrusive condylar angle
수평면에서 봤을 때(위에서 봤을 때) 하악이 측방운동시 비작업측(=균형측) 과로(과두가 움직인 길)와 sagittal plane이 이루는 각도 => bennett angle
(잘못정리한듯)
contour 윤곽
dislodging : 제자리에서 떨어지다
fistulous opening : 누공
통기성균 : 공기가 있어도 없어도 되는 양면성 갖는 균
통성혐기성균 : 산소호흡은 주로하나 무산소 환경에서도 증식가능
만성증식성치수염(=chronic proliferative pulpitis) (=pulp polyp)
폴립 = 용종 = polyp ; 점막의 표면위로 솟아올라온 혹
두부 = 두개골 = skull
저위순측전위 = high canine = 덧니
spacing = 치간공극
조음장애 : 발음이 부정확한 상태
fungus ball : 곰팡이가 공처럼 동글동글하게 뭉쳐져 있는 거
debridment : 괴사조직제거
악골 = 턱뼈
bullae : 수포
actinomycosis = 방선균증
신독성(=nephrotoxicity) ; 독소에 의해 신장에 손상을 주는 특성
이독성(=ototoxicity) ; 독소에 의해 귀에 손상을 주는 특성
primary gingivostomatitis : 원발성치은구내염
vascularity 혈관분포
macrophage : 대식세포
부골(=sequestrum) : 죽은 골조각
뼈가 썩는 현상 또는 썩은 뼈 정도로 생각하면 됨
골구(=involucrum) : 새로 생성된 골에 의해 둘러싸인 부골
기회감염 : 병원성이 없거나 미약한 미생물이 극도로 쇠약한 환자에게 감염되어 생기는 질환
경결감 : 딱딱한 덩어리
anticonvulsant : 항경련제
peg lateralis
상악측절치의 크기이상(크기 작아짐) 작고 가느다란 치아형태임 / 왜소치에 속함
post crown (포스트크라운)
크라운을 씌우기전에 치아 뿌리부분에 포스트(쉽게말해서 기둥)을 박아서 크라운을 씌우기 쉬운 머리를 만든다음, 크라운을 씌우는 과정
beading : palatal 주연결장치의 윤곽을 위해 상악주모형에 얕은 groove로 표시하는것
부연결장치
주연결장치와 국소의치의 다른 구성요소들 (교합면레스트, 간접유지장치, 직접유지장치, 의치상)을 연결시키는 부분
lingual 혀측의 설측의
lingual frenulum = lingual frenum = 설소대
labial frenum
flange = 테두리
denture flange(=의치상연) 하면 그냥 의치의 테두리 정도로 생각하면 될 듯
coronoid process
mandibular notch
condyler process
retromolar pad = 구후융기 = retromolar triangle = 후구치삼각융기
buccal shelf = 협측선반 = 협붕 / labial vestibule
0020
구각 = 입꼬리
구순 = 입술
안모 = 얼굴 생김새
pound’s triangle ; 하악견치근심면, 후구치삼각의 설측면, 후구치삼각의 협측면으로 구성되는 삼각형
원생생물 (=protozoa) : 진핵생물 중 하나의 세포로 구성된 동물
proteasome : 단백질 분해효소
buccal fat pad
: 볼의 심부에 있는 지방덩어리
ALT, AST -> 간손상의 지표로 이용
dry socket = 건성발치와 = 치조골염
정상적인 경우면, 발치후 발치와에 혈병(피딱지)이 생겨서 치유되는데,
특정 경우에는 발치와에 혈병이 생기지 않아(그래서 건성발치와라고 함) 치유가 늦어져 심한 통증 생기게 됨
종창 = swelling
충혈 : 혈액의 유입이 증가하는 증상
상비도, 중비도, 하비도, 상비갑개, 중비갑개, 하비갑개(=inferior nasal concha)
점액류 = mucocele
타액선 도관이 파괴되면서 점액물질이 주변연조직으로 유출되어 생기는 구강병소
인조현상관찰연구 = 실험적연구
; 가설적인 요인을 실험적으로 작용시키거나 제거한 다음 질병 발생 결과를 관찰하는 방법
울혈 : 몸속 장기나 조직에 피가 모인 상태
비만세포
살찌다의 비만에는 관여하지 않음(히스타민을 잔뜩 가져서 세포가 뚱뚱해 보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
선천성면역, 기생충공격 등의 역할을 함
wear and tear repair
: 정상적인 조건하에서 새로운 세포 및 조직이 끊임없이 생성되어 노화 및 죽어가는 조직들과 교체되는 것
조대술 = marsupialization = 개창술 = partsh 제1법
: 골내낭이 너무커서 낭적출을 하기에는 주변부 조직이나 골 손상이 너무 클거 같을때,
골내낭의 크기를 좀 줄인 후에 낭적출하기 위해 조대술을 함
낭 입구쪽 골을 좀 삭제하고 낭 입구를 개방하는 것이 조대술
조대술하고 나면 낭 입구가 구강내로 크게 노출이 되니까 시간이 지나면, 낭적출하기에 부담없는 크기까지 줄어듬. 이때 낭적출함
mesiodens = 정중과잉치
rete peg : 피부나 점막에서 상피가 결합조직 방향으로 확장, 돌출되는거
reverse polarization = 역극화 : 기저세포층의 핵이 기저막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
내사면절개 외사면절개
치아의 line angle
특수업태부 : 성매매하는사람
3벽성치조골 : 파괴된 골결손부가 3면의 골벽으로 이루어짐
hemiseptum : 병소치아는 치조골이 완전히 소실되었는데 인접치아는 치조골로 잘 둘러싸인거
nevoid 모반성의 모반모양의 점모양의
구개골융기 = 구개융기(좌) 하악골융기(우)
외골증 = exostosis = 과골증 = hyperostosis : 피질골의 국소적 과증식으로 뼈가 돌출되보이는 증상
내골증 = enostosis = 골경화증 = osteosclerosis
adenomatoid = 선양 = 샘종모양의
절치유두 = incisal papilla
비익 = 코끝에서 양쪽 똥그란 부분
첨와 = undercut
피개 / 이개
피개 : 덮는거, 닫는거 / 이개 : 여는거
수평피개 수직피개
치근면
치근의 면
기능교두 비기능교두
기능교두 ; 상하악저작시 걸리는 교두
비기능교두 ; 측방운동시 걸리는 교두
교합만곡
]
교합만곡에는 ap curve / lateral curve / 등이 있음
전후방만곡 = ap curve = curve of spee = anterior-posterior curve = 스피만곡
lateral curve = 측방만곡 = wilson curve
크리스텐센 현상 = christensen
균형교합
중심위 교합과 비중심위 교합의 어느 위치에서도 모든 치아가 접촉하는 교합양상
dmf = decayed missing filled
우식지수
dmfs = dmf surface index 우식경험치면
덴쳐 = denture = 의치 = 틀니
직경 = 지름
ECC = Early Childhood Caries : 유아기우식증
S-ECC = Severe ECC : 중증유아기우식증
lingual flange
buccal flange
mylohyoid ridge
유착 = ankylosis
치근이랑 치조골이 붙어가지고 못 움직이는 상태
정확히 말하면 치주인대의 비가역적 손상에 의해 치아의 백악질과 치조골 사이 골성 연결이 생기는 거
유치의 만기잔존
선천치
신생치
변연융선
법랑질 = enamel
상아질 = dentin
백악질 = cementum
치근관
상아법랑경계 = DentinoEnamel Junction = DEJ
치관의 상아질과 법랑질의 경계
백악법랑경계 = CementoEnamel Junction = CEJ
치은퇴축 양
CEJ에서 치은정? 까지의 거리 (만약 치은정이 CEJ 보다 위에 있으면 음수)
치주낭깊이
치은정에서 치주낭 기저부까지의 거리
부착수준
백악법랑경계 (=CEJ)에서 치주낭 기저부까지의 거리
혹은
치은퇴축과 치주낭깊이를 합한 값
생물학적폭경 : 치조골능에서 치은열구 기저부까지의 거리
locking : 갇혀있다
치아 탈구
치아가 흔들리거나 심한경우 빠지는 거
세치제 = 치약
천자=puncture : 찌르는거
costochondral : 늑연골
clavicle : 쇄골
삼차신경통 = Trigeminal neuralgia
= tic douloureux
절연 = insulation : 전기나 열을 통하지 않게 하는거
동통유발점 = trigger point : 특정 국소지점에 자극을 가하면 그것과 연관된 다른 부위에서의 통증이 시작
tarnish : 변색
납형채득 / 매몰(investment) / 소환(burn out) / 주조(casting)
내화재 = refractory material : 높은 온도에서 견디는것이 주요특징인 재료
매몰재의 팽창
매몰재가 팽창하면 그 속의 왁스가 들어있는 공간이 줄어들거같지만 이건 오개념이다. 부피팽창이라는 것은 모든 부분에서의 선팽창을 전제로 한다. 즉 모든 변연이 길어져야한다는 것이다. 왁스가 들어있는 공간이 줄어들면 변연이 짧아지는 것이므로 오개념
치은염 : 잇몸에 생긴 염증 / 잇몸 붉어지고 통증, 피남
치주염 : 치은염이 악화되어 치은말고도 다른 치주조직까지 염증 번진거
신경종(=neuroma)
신경가지쪽으로 종양이 자라 비대해져 신경이 자극받고 붓는 양성종양
유지놀 = eugenol
polyacrylic acid (=PAA)
phosphoric acid = 인산 = H3PO4
실리카 = silica = SiO2
orthodontic : 교정
에어로졸 : 대기중에 부유하는 고체 or 액체 미립자
절치 각도 = incisal angle
P/L : powder/Liquid ratio 분액비
혼수비 = W/P ratio (분액비랑 혼수비랑 다른듯…)
피막도
도금이나 코팅 등을 했을 때 그 두께
ANUG : 급성 괴사성 궤양성 치은염
살균 : 세균을 죽이는거
정균 : 세균의 번식을 억제
회음부 : 항문과 생식기 사이 부위
악정형치료
악정형치료는 위턱이나 아래턱의 성장을
촉진시키거나 억제하여 위턱 아래턱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치료를 말합니다
출처: http://secretdental.tistory.com/363 [시크릿 치과]
치아탈회
탈회
pH 5.0~5.5 정도 이하이면 치면의 탈회(Demineralization)가 일어나게 되는데(아래 Stephan curve) 치면에 부착된 플랙의 세균이 배설하는 산에 의해 치면의 탈회가 일어나는 현상을 치아우식이라고 합니다. 치아우식 발생에 작용하는
1급
소와열구에 의치하는 와동
2급와동
후방치아의 인접면 와동
와동벽 선각(두면이 만나 생기는 선) 첨각(세면이상이 만나 생기는 점)
lingual wall / pulpal wall / lingual wall / buccal wall / axial wall / gingival wall (그 면을 수직으로 뚫뚫 들어갔을 때 나오는 해부학적 구조로 이름 붙인거같음….)
점조도 = consistency
물엿처럼 끈적하게 달라붙는 정도
쇼그렌 증후군 : 눈물과 침분비 감소해 눈과 입이 건조해지는 만성 자가 면역 질환
누선 : 눈물샘
균교대 현상 : 항생제를 투여했을 때, 항생제에 감수성이 있는 균들이 감소하지만, 그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균들이 갑자기 강하게 증식해 수가 우세해지는 현상
확정적 영향 : 역치선량 이하로 쬐이면 생물학적 변화 없다가, 역치선량 이상으로 쬐이면 선량에 비례하여 생물학적 변화 발생률이 증가
확률적 영향 : 역치선량 없이 그냥 선량에 비례하여 생물학적 변화 발생률이 증가
alloy = 합금
구리 = 동
proximal box = 인접면 box
converge = 수렴
etchant : 에칭에 사용하는 액체
trapezoid = 평행사변형꼴
물활론 : 생명이 없는 대상에게 생명과 감정을 부여하는 식으로 생각하는 경향
cavosurface angle
전색 : 홈이나 구멍등을 막는거
협측치은구
빨간선 부분
hollenback carver
discoid-cleoid carver
1 양측성 균형교합(Bilateral balanced occlusion)
덴쳐배열에서 가장 으뜸인 방법.
양측성 균형교합은 Spee, Monson, Bonwill의 이론에 기초를 둔 교합양식
1) 중심교합시
전치 경우는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구치에서는 교합접촉을 이룬다
2) 전방운동시
악궁의 전후로 상,하악치아가 동시에 접촉을 한다.
3) 측방운동시
악궁의 좌우로 작업측(working side)과 균형측(balancing side)이 동시에 접촉하는 교합 양식
양측성 균형교합은 총의치 제작시 이루어지며
자연치열에서는 많은 단점으로 인해 적용을 하지 않는 교합양식
총의치 제작시 양측성 균형교합은 의치가 교합압에 의해 탈락되는 것을 막아 의치의 균형과 안정을 가져오며 저작운동중에 발생하는 측방력과 긴장을 치주조직에 분산시켜준다.
그러나 자연치열의 경우 양측성 균형교합을 적용하면 약 5년후 치아마모가 심해지고 악관절 및 저작근육의 동통을 유발하게 된다. 그러므로 자연치열에서는 적용하지 않는 교합양식이다.
1-2 Lingualized occlusion (설측교합)
교합시 가해지는 압력이 좀더 설측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고안된 교합
how? 상악 구치의 설측교두를 하악구치의 중심와에 접촉되게끔 수정시킴
=> fig4 와 같은 교합을 fig5와 같이 변경시키면 교합력이 좀더 설측쪽으로 이동되어 치조정에 가깝게 작용됨
상악 구치의 설측교두를 하악구치의 중심양측성 균형교합의 배열이 어려우며 치조골흡수가 심한분들께는 0도구치를통한 수평운동의 균형이 추천됩니다
0도 구치와 양측성균형교합의 중간쯤에 lingualized occlusion 이 있다고 보면무리가 없겠네요
보다 쉽게 양측성 균형교합을이루며 하악의 유지나지지를 흩트리지않는 형태입니다
우선 교두경사각이 클수록 좋습니다
상하악치아는 1치대1치를 권장합니다
상악의 설측교두를 교합평면 아래로 늘어뜨리고 하악레진치는 교두를 다날리던지 0도
구치를 사용해서 고경보다 조금높게 배열해서 상악구치의 교두가 하악 교합면속으로
들어가도록 접촉점을 삭제합니다(하악만)
전,측방운동을 시행해서 작업측과 균형측이 공히 닿도록합니다
모든치아가 다 균형을 이루기는 어려우므로 균형측에서 최소한 한점이상은 닿아야합니다
진료실에서는 다시 이하악교합면의 패인부분을 아말감이나 인레이로 바꿔야합니다
아니면 하악레진치만 조기 마모되고 균형교합이 흐트러집니다
추천도서:고려대 신상완교수님 저서 lingualized occlusion (표지가 분홍색이 들어있슴)
이 교합이론은 총의치 제작시 구치부의 교합으로 1970년 Pound에 의해 주창되었다. 이 교합은 하악협측교두는 상악구치와는 전혀 접촉하지 않고 상악설측 교두정만이 하악구치의 중심와와 원심와에 접촉하는 교합양식이다.
중심교합시 상악 설측교두정이 하악소구치 원심와에 각 1개씩, 하악 제1대구치 근심와와 원심와에 각 1개씩, 하악 제2대구치 근심와에 1개의 교합점이 생기므로 편측 5개, 양측으로는 10개의 교합점이 있다. 이와 같이 총의치 제작시 치아배열을 하면 상악 설측교두정이 하악치조정에 위치하게 되어 의치가 안정되고 교합되는 곳이 적으므로 치주조직에 부담을 적게 준다.
측방운동시 작업측에서는 상악 설측교두가 하악 설측교두의 내사면과 접촉하고 균형측에서는 상악 설측교두가 하악 협측교두의 내사면과 접촉한다. 전방운동시에는 모든 전치부는 접촉되고 견치는 최소의 수직피개를 이루도록 배열한다.
Lingualized occlusion은 치아배열시 외방경사가 일어나도록 상악구치의 협측을 약간 들어서 배열하거나 정상 배열을 한 후 상악 협측교두를 삭제하여 이루어 준다.
Lingualized occlusion은 총의치 제작시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치조골 흡수가 심한 환자와 비정상적인 악관계를 지닌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으며 대합치가 국소의치인 경우도 이 교합양식으로 회복시켜주면 바람직하다.
2 편측성 균형교합(Unilateral balanced occlusion) (Group functioned occlusion)
편측성 균형교합은 Schuyler가 이론을 정립한 교합양식으로 작업측에서는 교합접촉을 이루고 비작업측에서는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교합이다.
측방운동시에는 악궁의 좌우로 작업측(working side)만 접촉하는 교합 양식이다. 작업측 접촉은 하악이 운동하는 쪽의 치아접촉이며 균형측이 없으며 비작업측(non working side)이라고 한다. 작업측에서는 상,하악치아의 같은 측 교두끼리 접촉한다. 즉 작업측 협측교두는 상악협측교두의 내사면과 하악협측교두의 외사면이 접촉하며 설측교두는 상악설측교두의 외사면과 하악설측교두의 내사면이 접촉한다(cross tooth balance). 그러나 작업측의 설측교두끼리는 교두간섭이 발생되어 외상성 교합을 일으키므로 접촉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교합시에는 전치 경우는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구치에서는 교합접촉을 이룬다
전방운동시에는 전치에서만 교합접촉을 한다. 즉 상,하악 전치 절단부가 접촉을 하며 구치의 경우는 교합접촉을 이루지 않는다
편측성 균형교합은 측방운동시 작업측의 모든 치아가 측방력을 분담하는 장점이 있으며 작업측의 접촉량은 원심으로 갈수록 적은 것이 좋다. 또한 측방운동시 균형측이 닿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교모가 일어나지 않아 교두의 마모를 방지한다.
편측성 균형교합은 자연치열에서 볼 수 있으며 고정성보철물 제작시 이 교합양식을 적용시킨다.
편측성 균형교합은 치아배열에서 볼 때 작업측의 모든 구치는 측방운동시에 집단으로 접촉하고 전치(중절치와 견치)는 전방운동 중에 집단으로 접촉한다. 이러한 양식을 집단기능교합(group function occlusion)이라 한다. 다시 말해서 기능 부분을 가져오는 치아의 집단은 교합접촉을 공유한다. 구치는 측방이나 작업운동에서 기능하고 전치는 전방운동으로 기능한다. 이것은 악궁에서 치아들의 독특한 위치가 있기 때문이다.
3 상호보호교합(mutually protected occlusion)
현대 악관절론자(Stallard, Stuart, D"amico)들은 상호보호교합 개념을 발전시키고 있다. 상호보호교합의 용어는 중심접촉시에 교합고경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구치의 개념에 의해 설명한다. 그러므로 구치를 보호하는 전치는 수직폐구의 힘에 저항하기 위해 위치한다. 따라서 전치는 상, 하악 견치와 전치의 유도되는 접촉에 의해 측방과 전방운동시 구치를 보호한다. 이와 같이 상호보호교합은 견치가 중심이 되는 교합이므로 견치유도교합(canine guided occlusion) 또는 견치보호교합(canine protected occlusion)이라 불리운다.
이러한 견치유도는 현대 악관절론자의 개념에 따르면 하악의 측방운동시 순간적으로 모든 구치가 이개 되도록 한다. 이것은 교합배열에 있어서 기능 또는 비기능측에서 구치의 비중심(편심)접촉이 없음을 의미한다. 측방운동시 견치의 설측경사는 구치 교두들의 실제적 접촉이 없이 전단행위를 가져오는 다른 한쪽에 의해 구치의 교두융선을 지나가게 한다. 중심교두는 턱의 종단이 한 동작 페구될 때 대합하는 변연융선 혹은 와에 있는 음식을 저작하며 따라서 수직폐구는 멈추게 된다.
상호보호교합은 교합압을 모든 치아에 부담시키는 것이 아니고 각 치아의 특유의 성질을 살펴서 각각의 교합압을 분산시킨다. 견치는 수직적인 압력에는 약하지만 치근이 길고 치조골 내에 깊숙이 식립되어 있고 치조골 벽이 조밀하므로 측방압에 잘 견딘다. 그러나 이 교합은 견치에 부담이 크므로 견치가 결손되었거나 위치상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상호보호교합은 전방, 측방운동시 구치마모와 치주조직의 손상을 방지하는 교합이다. 그러나 측방운동시 측방압 부담이 견치에 너무 과중 된다는 단점이 있다.
상호보호교합은 중심교합시 구치부가 힘을 부담하며 전방운동시에는 전치부가 힘을 부담하고 측방운동시 견치가 힘을 부담한다.
보철물 제작시 상호보호교합을 부여한 교합을 이개교합(disclusion, organic occlusion)이라 한다. 이 같은 이개교합은 중심교합시 1 : 1 치아의 교합으로 교두와 와의 관계에서 3점 접촉을 이루도록 해준다 이개교합은 부분적 보철 회복으로는 곤란하므로 고정성보철물 회복에서도 전구강회복(full mouth rehabilitation)시에 적용시킨다.
posterior palatal seal
치간골 ; 치아와 치아 사이의 뼈
diazepam 항불안제
연마
표면을 반질반질하게 하는것
치약 연마제
치약속에 있는 똥글똥글한 입자
bleaching= 표백 : 탈색시켜 희게 만듬
심실세동
치간공극(=embrasure) = 치간이개 = diastema
벌어진 치아 (spacing)
골막기자
점막성 골막을 골표면으로부터 거상시키는데 사용
거상 : 들어올린다.
간접법 레진 수복
= 레진 인레이 온레이
소파술
치은점몰(=gingival stippling)
치은이 귤껍질 표면처럼 오돌토돌해지는거
박리 : 벗겨냄
치주인대=periodontal lig. = 치근막
창상
=wounding
칼 등 예리한 연장에 의해 다친 깊은 상처
이환
병에 걸림
치은열구
치주낭
치은열구가 병적으로 깊어진것
골연상/ 치주낭 ; 치주낭의 밑 끝이 치조골보다 위에있음
골연하 치주낭 ; 치주낭의 밑 끝이 치조골보다 아래에 있음
탄성한도E : 비례한도를 초과하는 응력이 작용하면 응력과 변형률이 정비례하진 않지만, 응력이 제거됐을 때, 변형이 완전히 회복되는 한계점이 되는 응력.
항복강도Y :
- 항복(=yielding)이란, 탄성한도를 넘는 응력이 작용했을 때 재료에 소성변형이 일어나는 현상
- 정의적으로는 재료가 소성변형을 시작하는 지점에서의 응력값(그러니까 소성변형을 일으키는 최소 응력값)인데,
소성변형을 시작하는 지점이 어딘지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어서 그냥 0.1~0.2프로의 소성변형률을 일으키는 응력값을 항복강도Y로 채택함그래프의 항복강도Y 지점이 소성변형이 시작되는 점이 아닌이유)
인장력 : 잡아당기는 힘
condyloma : 성기부위에 나는 사마귀
고무종(=gumma)
매독걸린 환자에게 특이하게 나타나는 결절 (3기에 잘 나타남)
치주판막수술
금속도재관 / 완전도재관
젖음성
압흔
- 압력으로 인한 흔적 정도로 생각
기성트레이
다이
그림에서 톱질되어 분리된 것들
치은압배
인상채득전에 인상채득시 치아 경계가 더 뚜렷하게 잘 나오게 하기 위해 실을 잇몸안에 넣음으로서 치아와 치아 사이를 넓히는 작업
허혈
그래서 혈액공급이 저하됨
정중구개봉합
임시보철물(=temporary restoration) = 예비보철물(provisional restoration) = 잠정적인 보철물(=interim restoration)
정중이개
앞니 사이가 벌어진거
개방교합 = openbite
과개교합 = deepbite
하악체 = 턱뼈몸통 = body of mandible
하악과두 = 턱뼈머리 = head of mandible
Ramus = 턱뼈가지 = 하악지
턱뼈각 = angle of mandible = 하악우각부
하악공 = 턱뼈구멍 = mandibular foramen
이공 = 턱끝구멍 = mental foramen
하악 우각 = gonial angle
인상채득 : 구강내 모습을 음형으로 기록하는거 (인상채득후에 거기다가 석고 같은거 부어서 작업모형 만듬)
erythroplakia : 홍반증
C factor = 접착면적 / 비접착면적
=> C factor 클수록 접착면에서의 수축응력이 증가함
Na
- Nasion
- 전두비골봉합(앞이마와 코뼈가 만나는 봉합)의 최상방점
ANS
- anterior nasal spine) (=전비극)
- 상악골의 최전방점
PR
- Prosthion=superior prosthion =SPr)(=치조점)
- 상악치조돌기의 최전하방점
A점
- superior prosthion
- ANS와 PR사이 곡선의 최후방점
Is
- Incision superius
- 상악중절치 절단의 최전방점
Ii
- Incision inferius
- 하악중절치 절단의 최전방점
Id
- InfraDentale
- 하악치조돌기의 최전상방점
Pog
- Pogonion
- 턱끝의 외형선에서 최전방점
B점
- supramentale
- Id와 Pog 사이 곡선의 최후방점
Me
- Menton
- 턱끝의 외형선에서 최하방점
Gn
- Gnathion
- Pog와 Me 사이의 중간점
Ba
- Basion
- foramen magnum 앞모서리의 중앙지점
PNS
- Posterior nasal spine
- 골성경구개의 최후방점
S
- Sella
- 뇌하수체의 중심
Or
- Orbitale
- bony orbit의 최하방점
Go
- Gonion
- 턱뼈각의 최후하방점
Co
- Condylion
- 하악과두의 최상방점
Ar
- Articulare
- 두개저의 하방면과 하악과두 후방연의 교차점
PTM
- PTerygoMaxillary fissure
- 눈물방울모양의 방사선투과성 부위
Po
- Porion
- 외이공의 최상방점
FH-plane
- Po과 Or를 연결
Mandibular plane (=하악평면)
- Me에서 하악하연으로 그은 접선
Occlusal plane (=교합평면)
- 상하악 중절치 절연의 중점과
상하악 제1대구치 교합평면의 중앙점을 연결
Nasal floor = palatal plane = 구개평면
- ANS와 PNS를 연결
Facial plane
- Na와 Pog를 연결
Y-axis
- S와 Gn 을 연결
Ramus plane
- Ar에서 하악후연으로 그은 접선
전두개저평면 = S-N plane
- S와 Na을 연결
- Facial angle ; FH plane과 Facial plane 사이 각도 (Facial plane = N – Pog plane )
- Mandibular plane angle ; FH plane과 mandibular plane 사이 각도
- Y-axis angle ; FH plane과 Y axis 사이 각도
- FMA = FH plane과 Mandibular plane 사이각
- FMIA = FH plane과 lower incisor axis 사이각
- IMPA = lower Incisor axis와 Mandibular plane 사이각
공통변위로
- 의치를 끼고 기능하는 동안 의치가 탈락하는 대부분의 경로
- 교합면에 수직 방향으로 탈락하는 의치탈락 경로 (ex) 끈적거리는 음식을 저작할 때 의치탈락
삽입철거로
- 의치가 삽입, 철거되는 경로
Full palatal coverage
- 완전 구개부 피개
- 상악 전치부만 남아있는 경우에 적용
납착
- 납땜 정도로 이해
주연결장치 / 부연결장치 / 레스트
첨상
소모성질환
- 서서히 전신 쇠약을 가져오는 질환
교합제 (=wax rim)
여기서 벌건거를 교합제
절치유두
상악중절치 바로 뒤에 볼록 튀어나온부분
pox = 수두
교차감염
기구등을 매개로 전염되는거
화농성
침윤
점차 침입하여 퍼짐
침윤성 : 병소의 경계가 불명확하고, 변연이 불규칙한
치배 : 앞으로 치아가 될 치아의 씨앗
연하 : 삼키기
연하곤란 = dysphagia
육아조직 : 상처자리가 아무는 과정에서 생긴 모세혈관, 섬유아세포 등이 풍부한 결합조직
육아종 = granuloma : 육아조직으로 이루어진 염증성 결정
운륜 = halo ; 둥근 테두리
신생물
대충 종양정도로 이해하면 됨
화골성
치조골
치조정
외상성교합
특정 치아에만 이상한 교합자극이 가해지는 경우
치근이개부 병변
: 치근 이개부가 원래는 치조골에 덮여있어 노출되지 않아야하는데 , 치근이개부 병변에서는 덮여있지 않아 노출되어 버린 상태
3도 치근이개부 병변 : 탐침 같은 걸 치근이개부에 넣어보았을 때 협설로 완전히 관통되는 경우
2도 치근이개부 병변 : 탐침 같은 걸 치근이개부에 넣어보았을 때 협설로 완전히 관통되지는 않고, 협설폭의 1/3이상이 관통되는 경우
1도 치근이개부 병변 : 탐침 같은 걸 치근이개부에 넣어보았을 때 협설로 완전히 관통되지는 않고, 협설폭의 1/3이하가 관통되는 경우
조직유도재생술 = GTR = Guided Tissue Regeneration
: 치조골이 녹은 부분을 다시 재생시키는 술식
과정
잇몸 절개해서 치조골이 녹은 부위를 노출시킴
-> 녹은 부위 주변 치근면을 확택술로 깨끗이 청소
-> 녹은 부위에 골이식재 넣음
-> 차폐막으로 골이식재 넣은 부분을 덮어 다른 조직과의 접촉 막아서 다른 조직이 골이식재 넣은 부분으로 침투하는 거 막음
-> 봉합
프라이머 = primer
치아의 교원섬유 내의 수분을 밀어내어 레진이 들어왔을 때, 침투도를 촉진시키는 말하자면 (레진) 접착 강화제
명도 : 색의 상대적 밝기
채도 : 색의 포화도(강한색, 약한색 구분하는 요소)
SLOB rule : Same Lingual Opposite Buccal
관구를 근심으로 움직인후 촬영하면,
설측물체는 같은 방향인 근심쪽 상에 나타나고,
협측물체는 반대 방향인 원심쪽 상에 나타남
관구를 원심으로 움직인후 촬영하면
설측물체는 같은 방향인 원심쪽 상에 나타나고,
협측물체는 반대 방향인 근심쪽 상에 나타남
Ledge
도말층 = smear layer ; 근관형성 이나 와동형성 등 치아가 삭제되는 모든 과정에서 생성되는 얇은 찌꺼기층
leucotoxine : 백혈구를 파괴시키는 독소
티아민 = vitB1
리보플라빈 = vitB2
봉와직염(=cellulitis) : 피부의 진피와 피하조직에 세균이 침범하여 나타나는 급성세균 감염증
type1 당뇨 = 인슐린의존성
type2 당뇨 = 인슐린비의존성
artherosclerosis = 동맥경화증
CHD = 관상동맥성 심장질환
균혈증
병원체가 신체 한 부분의 1차 병소에서 2차적으로 혈액 속으로 이동하는 증세. 균이 혈액 속에 들어가서 온몸을 순환하고 있는 상태
시토카인 cytokine
주로 백혈구에서 분비되는 명령 내용이 쓰여 있는 단백질이라고 말할 수 있다
후두
활주운동 = sliding movement
물체위를미끄러지듯이움직이는거
접번운동
문이 열고 닫히는 운동이 접번운동의 대표적인 예
Camper’s plane
- ala와 tragus(=이주)를 연결하는 직선
tragus = 이주
Median palatal raphe = median raphe
- 구순 = 입술
- 전돌양 = 하악턱이 나온
- 비순구 = 팔자주름
- 비주
- 치조설구
치조설구란 잔존치조제와 혀의 사이에 있는 공간이다
피복
- 덮음
otic ganglion : 이신경절
auriculotemporal n. = 이개측두신경
동심원
-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반지름이 다른 두개이상의 원
subluxation : 치아를 탈구시키는거
심내막염
세균이나 곰팡이 같은 미생물이 심장의 내막에 균체를 형성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상태를 감염성 심내막염이라고 한다. 이러한 염증은 대부분 심장판막을 침범하고, 심장판막에 혹 또는 우종(vegetation, 세균 덩어리)이라는 병변을 동반하게 된다. 과거에는 감염성 심내막염을 치료하지 않은 경우 병의 진행 속도에 따라 급성 또는 아급성 심내막염으로 분류하였다. 최근에는 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하여 발생하며, 발병 수주 내에 판막이 심하게 파괴되고, 전이성 감염을 동반하는 경우를 급성으로 정의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감염성 심내막염 [infective endocarditis]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overjet overbite
- 안모
얼굴모양
processing = curing
총의치 제작에서 의치상재료를 의치 mold내에서 완성형으로 경화시키는 과정
치간유두
- 구내염
구내염 : 입 안 점막(혀, 잇몸, 입술과 볼 안쪽 등)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
-A라는 곳에 relief를 둔다 (총의치에서)
A에 의치가 꼭 맞게 장착 시키는게 아니라 살짝 여유를 두고 느슨하게 장착되도록 하는거
모델링컴파운드 modeling compound
*1종지레
Fulcrum ; 지렛대에서 받침점
fulcrum line
FEV1.0 = Forced Expiratory volume in one second
1초간 최대 호기량
clearance : 간격
포합반응
물에 용해되기 어려운 노폐물이나 약물 등을 수용성으로 하여 배설되기 좋게 하기 위해, 각종 화합물이나 기를 결합시키는 생체내 반응
항정상태 = steady state
배설되는 양과 투여량이 같아서 혈중 농도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
NSAIDs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NSAIDs에는 아스피린,), ibuprofen 등이 있음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타이레놀
barbiturates
- 중추신경계 전반에서 각성수준을 저하시키는약물
- 진정제 수면제 로 이용
theophyline : 기관지염, 천식 등에 사용하는 치료약
nitroglycerin : 혈관확장제
anemia : 빈혈증
irritability : 불쾌감
프로트롬빈 :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효소
프로트롬빈시간(PT=Prothrombin Time) : 출혈시 간에서 프로트롬빈이 형성될때까지 걸리는 시간
혈액응고 과정 중 외인성경로에 필요한 인자인 프로트롬빈(II인자), V인자, VII인자, X인자가 정상적으로 응고활성을 일으켜 혈병이 생성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검사법
subcutaneous : 피하의
- 수직피개(VO)=Vertical Overlap=overbite 수평피개(HO)=Horizontal Overlap = overjet
긴박뇨
방광에 있는 소변의 양 관계없이
편심운동
교합인기
구강내에서 상하악 교합상을 고정시키는 작업
중심위 (=Centric relation = CR)
(걍 가장 자연스럽게 입을 다물고 있는 상태라고 생각하믄 될 듯)
중심교합 / 중심교합위(CO) /
최대교두감합위(maximum intercuspidal occlusion=micp)
; 상하악 치아 교합면이 하악골의 편위 없이 최대한 상호접촉하는 위치
중심위 = central relation = CR
: 상악에 대한 하악의 위치관계로서, 과두가 관절융기의 전방경사면에 위치되고, 과두원판 복합체가 대응되는 과두와에 안정적으로 위치할때의 하악의 위치
중심교합위(=centric occlusion = CO)
중심위로 유도되었을 때 상하악 치아 사이 교합관계
(CR과 CO는 일치할수도있고 일치하지 않을수도 있음)
전방절치로 = 최대감합위에서 절단교합으로 하악전치의 절단연이 상악전치의 설면함몰부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로
하악안정위(rest position, RP)
편심위
백악질
백악질(=cementum=시멘트질) : 치근과 기타 일부를 덮고있는 얇은 막
Freeway space = 자유공간
; 생리적으로 휴식할때의 치아면 사이의 거리가 저작시에 얼마나 줄어드는가..
RVD - OVD
누년적 : 여러해동안 관찰하는
블록아웃 : 언더컷을 없애기 위해 왁스같은걸로 메꾸는거
tissue conditioner
의치상에 개상, 첨상 할 때, 의치상에 올리는 재료 (분홍색)
기능인상
최종인상할 때 입술움직이고 혀내밀고 하는거
BUN = 신장의 대사산물 배설 능력
관혈적 : 메스를 써서 피부나 근육 조직 등을 절제하여 근육, 뼈, 신경 등을 건드리는
통각과민 = hyperalgesia : 아픔을 과다하게 느끼는 상태
불소바니쉬 : 불소가 함유된 약을 바르는 것
2급와동
: 구치 인접면을 포함하는 와동 (MO cavity or DO cavity or MOD cavity)
도구적 조건을 이용한 강화
: 긍정적 강화인자 or 부정적 강화인자를 주거나 뺏어서 행동을 조절하는 방법
이형성 = dysplasia
: 악성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있는 양성 신생물
박리 상태 : 벗겨져 나온 상태
도말 : 펴바른 표본
편평세포
: 넓적한 방석 모양의 동물 세포 ( 대부분의 상피 형성)
니콜스키 징후
: 물집 주위 영역에서 정상처럼 보이는 표피에 측면 압력을 가하면 피부가 벗겨지는 현상 / 그냥.. 문지르면 피부가 벗겨지는 현상 정도로 이해
함치성
: 치아를 감싸는
ex) 함치성낭 : 치아를 감싸는 낭
교반
: 휘저어 섞음
face-bow transfer
scalpel : 해부용칼 ; 메스
inter incisor angle = IIA = 절치각
protrusion = 돌출
관혈적 & 비관혈적
: 예로 설명하자면
관혈적 수술 => 수술부위를 메스로 째서 개방한 후 진행하는 수술
비관혈적 수술 => 수술부위를 개방하지 않고 그냥 둔 상태에서 진행하는 수술
relining = 첨상
rebasing = 개상
반흔 = 상처
hemostatic = 지혈제
hemorrhage = 출혈
이식편
: 사자이빨을 호진이에게 심었다면 사자이빨이 이식편임
GTR = Guided Tissue Regeneration = 조직유도재생술
구강전정
치은절제술
: 정상적인 잇몸의 양과 다르게 염증으로 인해 비대해져 비정상적으로 치아를 감싸고 있는 잇몸을 절제하는 시술
petechiae = 점상출혈
시메티딘
: 위산분비 억제 작용이 있어, 위궤양, 십이지장궤양등의 치료에 쓰이는 약
EC50
: 50프로의 약리작용이 나타나는데 필요한 약물의 용량
약물의 효능
: 그 약물을 사용해서 얻을수 있는 최대의 약리 효과 크기
도취감
: 만족해서 즐기거나 어떤 대상에 완전히 빠져 취하다시피 되는 느낌
작용제 = agonist
: 세포내 수용체와 agonist가 결합하면 수용체가 활성화되어 생물학적 반응이 유도됨
길항제 = antagonist
: 작용제물질이 결합하는 수용체에 길항제가 대신 결합해버려서 작용제 물질이 결합하는 정도를 떨어뜨림
그러나 길항제가 수용체에 결합한후에 어떤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함. 그냥 작용제가 수용체에 결합하지 못하도록만 하는거
Icterus = 황달
포스트크라운 = post crown
: 충전 재료만으로 부족한 치질을 채워 쌓아 올리기에는 지지력과 강도가 약해서 문제가 발생할 것 같을 때 => 일단 튼튼한 기둥(Post)를 세운후에 충전재료로 채워 쌓아올림 => 그후 크라운을 씌움